• 사이트 관리
    • 사이트 만들기
    • 사이트 설정
    • 게시물 관리_문의하기
    • 게시물관리_자주묻는질문
    • 게시물 관리_공지사항
    • 게시물 관리_갤러리
    • 게시물 관리_스토리
    • 게시물 관리_팝업
    • 게시물 관리_일정관리
    • 네이버 간편로그인 설정
    • 네이버 사용자 설정 및 검수
    • 약관 설정
    • Google Analytics (GA) 설치
    • 환경설정_도메인 설정
    • 환경설정_도메인_가비아 SSL연동
    • 환경설정_도메인_DNS 레코드 연동
    • 도메인 관리 서비스별 적용 방법
도메인 관리 서비스별 적용 방법

도메인 관리 서비스별 적용 방법


메타플라이어에서 만든 사이트를 도메인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먼저 메타플라이어에서 사이트를 제작했다면, 가지고 있는(또는 구매한 도메인)에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도메인 관리서비스에서 cname의 정보만 등록하면 되는데 그 과정을 통해 도메인 연결과 https 적용을 위한 SSL 인증까지 처리가 됩니다. 

 

구매한(소유한) 도메인으로 메타플라이어에서 만든 사이트를 접속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메타플라이어에서 ‘사이트 관리 > 환경설정 > 도메인’ 메뉴에서 사이트를 선택한 후 ‘기존 도메인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2. 도메인을 입력하세요. 

3. DNS 레코드, SSL 인증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4. 메타플라이어에서 제공하는 DNS 레코드, SSL 인증값 확인하세요. 


5. 도메인 관리 서비스에 가셔서 DNS 설정, 네임서버 고급설정과 같은 메뉴를 통해 위의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1) 가비아의 경우, (로그인 후 DNS 관리)


* SSL 인증 호스트 뒤에 도메인을 삭제하고 등록해 주세요.

** 값/위치 뒤에 콤마(.)를 추가해야 합니다. 



2) 후이즈의 경우, (로그인 후 DNS 관리)



* SSL 인증 호스트 뒤에 도메인을 삭제하고 등록해 주세요.

** 값/위치 뒤에 콤마(.)를 삭제해야 합니다. 



3) 카페24의 경우, (로그인 후 DNS 관리)


* SSL 인증 호스트 뒤에 도메인을 삭제하고 등록해 주세요.

** 값/위치 뒤에 콤마(.)를 삭제해야 합니다. 

*** root(@)의 경우 호스트명을 공란으로 입력해 주세요.




4) 기타 해외 서비스의 경우


 - squarespace: 

[1] root(@)에 대한 설정은 cname이 아닌 alias 형식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2] 모든 값의 뒤에 콤마(.) 사용 금지  예) host name: @, type: alias, host value: mf-prd-alb-default-849171360.ap-northeast-2.elb.amazonaws.com 

 - godaddy: 

[1] 모든 값의 뒤에 콤마(.) 사용   


각 도메인 서비스별로 지원하는 방식이 상이하니 오류 발생 시 도메인 서비스에 DNS 세팅에 대해 문의해 보시면 됩니다. 


    On this page